칼빈의 성찬론과 한국교회 성찬식 실태 비교연구 다운받기
[목차]
1.로마 카톨릭의 성찬론
1.주요 종교개혁자들의 성찬론
2.칼빈의 성찬론
Ⅲ.결론
1.서론
종교개혁자들은 전통적으로 하나님께서 성도에게 은혜를 베풀어주시는 수단으로서 말씀과 함께 성례를 강조해왔다. 이 가운데 성찬이 들어있는데 이에 대한 견해는 다른 교리에 비해서 개혁자들 사이에도 일치를 보지못한 부분이다. 그러나 칼빈의 견해가 개혁주의 교회의 대부분의 교회들에서 채택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인은 칼빈의 성찬론을 중심으로, 이 견해가 어떻게 후대에 연결되는지를 주요 신앙고백서와 청교도들의 성찬론과 함께 고찰한 후에 한국 교회의 현재 성찬식 실태와 비교 검토하여 가장 성경적인 성찬의 의미를 찾아보고자한다.
Ⅱ.본론
1.로마 카톨릭의 성찬론
종교개혁자들도 결국, 로마 카톨릭의 교리에 반대하여 나온 견해이기 때문에 로마 카톨릭의 성찬론을 먼저 살펴보는 것이 순리인 줄로 안다. 그들의 견해는 소위 화체설로서 성만찬의 떡과 포도주가 신부의 축성기도를 통해서 예수님의 참된 몸과 피로 변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화체설, 즉 “본질의 변화(transubstantiation)”라고 부른다. 라테란 회의(1215)에서 결의한 종규 제1조에 보면, 화체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