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덕터 알고 설계하자 Report
[목차]
1. 인덕터의 정의
어떤 회로에 전류가 흐르면, 같은 그 회로와 관련되는 자기장을 만들고, 전류가 변하면 이 자기장도 변한다. 어떤 회로에 전류가 변하면, 그 회로자체에서의 자기장의 변화로 인해 기전력이 유도된다. 이 기전력을 자체유도기전력(Self induced emf)이라 부른다. 인덕턴스를 갖는 몇몇의 전기 소자는 인덕터 또는 인덕턴스, 그리고 어떤 용도에서는 쵸크라 한다. 인덕터는 같은 지지대 위에 도선을 빽빽하게 감아서 만든다.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면 개개의 코일은 다른 모든 코일에서 전류에 의해 생성된 자속과 교차한다. 따라서 전체의 코일과 교차하는 총 자속은 크게 된다. 인덕턴스의 단위는 초기에 유도 효과를 연구한 미국인 Joseph Henry의 이름을 따 Henry라 한다.
고주파 전자 회로는 대개 직경 1cm인 지지대 위에 몇번 감은 나선형 코일인 μH의 인덕턴스가 사용된다. 수십 번 감은 코일의 인덕턴스는 대략 mH 정도가 된다. 저주파에서 사용하는 대용량 인덕턴스는 철과 같은 강자성 물질의 코어 위에서 수백 번 코일을 감음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백 헨리의 인덕턴스가 만들어 진다.
철심 인덕터의 코어는 변화하는 자속에 의해 금속 코어에서 유기되는 전류를 막기 위해 철판을 겹겹으로 쌓아서 만든다. 이것은 코어에서 이른바 와전류에 의한 손실을 줄인다. 개개의 철판은 절연 니스로 서로 격리시키고, 그것들을 쌓아 올려 적당한 크기로 만든다. 인덕터에 대한 회로 기호는 나선형 코일이다. 또한 기호 옆에 평행선이 있을 때는 자성체의 철심이 쓰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가변 인덕턴스는 적절히 감은 코일의 일부를 움직임으로써 얻어진다. 그러나 그러한 소자는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대부분의 인덕터는 고정되어 있다. 대부분의 용도에서 주어진 ac 회로에서의 쵸크의 효과를 결정하자면 감은 층 사이에서의 캐패시턴스와 감는 전선에서의 저항을 고려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