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보험 Down
[목차]
고용보험이란 실직근로자에게 실업급여를 지급하는 전통적 의미의 실업보험사업외에 적극적인 취업알선을 통한 재취업의 촉진과 근로자의 직업안정 및 고용구조 개선을 위한 고용안정사업, 근로자의 능력개발사업등을 상호 연계하여 실시하는 사회보험제도이다.
따라서, 실업보험은 단순하게 실직자의 생계를 지원하는 사후적·소극적인 사회보장제도에 그치는 반면, 고용보험은 실직자에 대한 생계지원은 물론 재취업을 촉진하고 더 나아가 실업의 예방 및 고용안정, 노동시장의 구조개편, 직업능력개발을 강화하기 위한 사전적·적극적 차원의 종합적인 노동시장정책의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노동부, 2003) 즉 고용보험의 의의는 무엇보다 1990년대 이후 정부가 자본에 의한 자본축적구조의 변화와 안정적 자본축적을 위한 ‘노동시장의 유연성’제고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강현아,1999;5)
고용보험은 실직근로자에게 실업급여를 지급하는 전통적 의미의 실업보험사업 외에 산업구조조정의 촉진 및 실업예방, 고용촉진 등을 위한 고용안정사업, 근로자의 생애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직업능력개발사업을 상호연계하여 실시하는 사회보장제도임과 동시에 노동시장정책이다.
2) 고용보험의 기능
(1) 빈곤방지의 사회보장적 기능
고용보험제도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근로자가 실질을 당했을 경우 실직자 및 그 가족에 대한 실업급여를 지급함으로서 사회적 빈곤의 증대를 완화시키는 사회보장적 기능을 담당한다.
(2) 사회연대증진의 정치적 기능
고용보험제도는 경험요율등을 도입해 고용주가 고용안정을 유지토록 하여 실업문제를 둘러싼 노사간 긴장과 갈등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사회구성원간의 일체감을 높여 정치적 안정과 사회적 연대를 증진시키는 정치적 기능을 담당한다.
(3) 소득재분배 및 기업경쟁력 강화의 경제적 기능
실업급여 지급은 경기 불황시 근로자의 구…(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