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올립니다 으로 본 조직행동론 다운로드
[목차]
1. 엄석대가 같은 반 아이들의 행동을 통제하는 방법에는 어떠한 것이 있었고, 이러한 통제방법을 강화의 법칙의 관점에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① 엄석대는 점심시간에 아이들이 바친 음식들을 세 명에게(권칠만, 이기환, 김민태) 나누어 주었다. 이걸 강화이론으로 설명하면, 엄석대는 자신이 바라는 행동(자신의 말을 잘 듣는 것)을 한 아이들에게 그 행동(음식을 바친 것)에 대해 보상(음식 나눠준 것)을 함으로써 아이들이 앞으로도 그 행동을 계속해서 반복할 수 있도록 강화한 것이므로 “긍정적 강화”에 해당된다.
② 엄석대는 지각한 아이들에게 토끼뜀과 청소를 시켰다. 이건 엄석대 자신이 원하지 않는 행동(지각한 것)을 한 아이들에게 그들이 싫어하는 것(토끼뜀과 청소)을 제공해서 앞으로 지각하는 행동을 중단하도록 강화한 것이므로 “처벌”에 해당된다.
③ 엄석대는 수업시간에 떠들지 않고, 지각도 하지 않는 아이들에게만 서커스 구경을 시켜주고 수업시간에 떠들고 지각한 아이들(태규, 만순, 문수)은 제외시켰다. 이걸 강화이론 관점에서 설명하면, 수업시간에 떠들지 않고 지각도 하지 않는 아이들은 엄석대 자신이 원하는 행동을 한 것이기 때문에 서커스 구경이라는 보상을 통해 앞으로도 아이들이 계속 반복해서 그런 행동을 하도록 만든 것이므로 “긍정적 강화”에 해당된다.
반면 수업시간에 떠들고 지각한 아이들은 엄석대 자신이 원하지 않는 행동을 아이들이 한 것이므로 그들에게는 그들이 싫어하는 불유쾌한 결과(서커스 구경에서 제외시킨 것)를 제공함으로써 앞으로는 수업시간에 떠들거나 지각하는 행동을 중단토록 강화한 것이므로 “처벌”에 해당된다.
④ 엄석대는 자신의 수하가 아닌 한병태만 제외하고 서커스장 입구를 지키는 …(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